퇴직 후 새로운 시작, 시니어 일자리의 모든 것

고령화 시대로 접어든 한국에서 노인(시니어)들의 노년은 무방비 상태에 놓여있습니다. 평생을 고생하며 살아왔지만 은퇴 후의 노년이 걱정이 됩니다. 오늘은 모두가 갖고 있는 걱정 속에서 경력에 맞춰 시니어 일자리를 찾아 새로운 시작을 하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시니어 일자리 이미지
출처 : 매일신문

1. 한국의 고령화 현황과 시니어 일자리의 중요성

한국은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20%를 차지하며, 이는 OECD 평균을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고령화는 노동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니어들의 경제 활동 참여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시니어들이 일자리를 찾는 주요 이유는 경제적 필요뿐만 아니라 사회적 참여와 자아실현의 욕구도 포함됩니다. 일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사회와의 연결감을 느끼며,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노인일자리 수 증가 그래프

2. 시니어 일자리의 유형과 특징

시니어 일자리는 크게 공익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익형 일자리 :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활동으로, 환경 정화, 공공시설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 시니어의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하여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로, 교육, 상담, 돌봄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시장형 일자리 : 시니어들이 직접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로, 예를들어 시니어 클럽에서 운영하는 카페나 공방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일자리는 시니어들의 다양한 역량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가치도 창출합니다.

자율방범대 활동 이미지
출처 : 시사IN

3. 시니어 일자리의 긍정적 사례와 한계

시니어 일자리는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일을 통해 시니어들은 자신감을 회복하고, 사회화의 유대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합니다.

1) 긍적적 사례

36년간 경찰공무원으로 일해온 박병오씨(63)는 2021년 12월 31일 은퇴를 했습니다. 평생을 아침일찍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던 습관으로 여전히 새벽이면 눈이 떠지곤 했다고 합니다. 아직 젊다는 생각에 어떤 일을 할까 고민하다가 2023년 3월, 퇴직 공무원을 위한 사회공헌 사업에 지원했고, 그 계기로 지금까지 광명경찰서에서 ‘자율방범 자문관’으로 일하며 자율방범대와 어머니 자율방범대를 교육하거나 동행 순찰을 하고 있습니다. 한달 근무시간은 57시간 이하. 임금(활동비)은 퇴직 당신의 20% 수준이지만 사정에 따라 일하는 날짜나 하루 근무시간을 조율할 수 있는 재량 근무 형태라는 점이 만족 스럽다고 말합니다.
– 시사IN 기사 내용 中

2) 고민해야 할 문제점

일자리의 질적 한계 : 많은 시니어 일자리가 단순 노동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고학력 시니어들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속 가능성 : 일부 일자리는 단기적이며, 지속적인 고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보수 수준 : 일부 시니어 일자리는 보수가 낮아 생계 유지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76세 이창순씨는 건물 미화 일을 25년 넘게 했습니다. 복도와 화장실, 사무실마다 어떤 청소 도구가 필요한지, 어떤 방식으로 청소해야 하는지를 너무 잘 아는 베테랑 노동자입니다. 이창순씨는 미화/경비/주차직 등을 주로 구인하는 민간 취업사이트에서 일자리를 구합니다. 그는 정부 주도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건강하기 때문에 (정부 일자리 사업의 노동시간보다) 더 오래 근무할 수 있고, 지금까지 해왔던 일을 좋아해서 계속하고 싶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이창순씨는 나이만을 기준으로 일할 기회를 빼앗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합니다. “호적에 적힌 출생연도만 보지 말고 직접 나를 만나보고 뽑았으면 좋겠다. 얼마나 건강한지, 얼마나 일하려는 의지가 있는지는 만나보면 알 수 있으니까. 지금까지 일하면서 제일 좋았던 건 임금인상이 아니라 고용승계더라. 어제가지 일 잘하던 사람을 나가라고 하지 말고 그 사람이 좋아하는 일이면 계속할 수 있게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
– 시사IN 기사 내용 中

노인일자리 구직박람회 이미지
노인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상담을 기다리는 모습 : 연합뉴스

4. 시니어 일자리의 발전 방향과 제언

시니어 일자리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개선되기를 원합니다.

다양한 일자리 개발 : 시니어들의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개발해야 합니다.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강화 : 시니어들이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민간 부문과 협력 강화 : 정부와 민간 부문이 협력하여 시니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고용을 지원해야 합니다.
사회적 인식 개선 : 시니어들의 경제 활동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야 합니다.

👏마치며

고령화 사회에서 시니어 일자리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통합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양한 일자리 개발과 지원을 통해 시니어들이 능동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 민간 부문, 지역 사회가 함께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시니어 일자리 생태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누구나 맞이하게 되는 시니어시기 입니다. 남의 일이 아닌 얼마 후에 경험해야하는 나의 일이기도 합니다.

필자도 생각해 봅니다. 부모세대와 함께 할 수 있는 일을 만들고 싶다고…


당신의 행복한 노후를 응원합니다.

Similar Posts